분배정의, 기본소득 실험, 경제 이야기
복지경제학은 경제학의 가장 인간적인 얼굴입니다. 경제의 효율성 분석을 넘어, 누가 얼마나 더 나은 삶을 살아야 하는가를 묻는 이 학문은 정의, 형평, 그리고 사회적 후생을 중심으로 설계된 경제학의 한 축입니다. 기본소득은 바로 이 복지경제학의 심장부에서 제기된 급진적이면서도 논리적인 제안입니다. 모든 국민에게 무조건적이고 정기적인 소득을 지급하자는 이 구상은, 경제학적으로는 파레토 최적이나 사회후생함수의 관점에서, 철학적으로는 롤즈의 정의론과 센의 능력 접근법에서 풍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분배 정의와 현대 복지국가의 전환점전통적 복지경제학은 파레토 효율성과 사회후생함수를 통해 사회 전체의 복지를 수량화하고 최적화하는 방식을 고민해왔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은 초기 소득분포나 권력의 비대칭성을 설명..
경제
2025. 4. 29. 08:09